홍동이의 성장일기

[👩‍💻TIL 26일차 ]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4기 본문

교육/유데미 스타터스 4기

[👩‍💻TIL 26일차 ]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4기

홍동2 2023. 3. 14. 18:47

 

📌 지난 시간 팀 과제 피드백

 

Q. 지역 매니저와 임원이 보고 싶은 데이터의 차이점

 

➡️ 임원

  • 현재 재무 상황(전략팀, 재무Finance팀 승진 와따)
  • 절대적&상대적 숫자 비교
  • 시장에서의 입지 (=점유율) -> 통계청에 전화하기, 뉴스 찾아보기(이데일리 뉴스) 컨설턴트 회사가 기자에게 뿌리는 것이다, 점유율 아는 사이트: 방문자 수 트래킹하여 파는 것
    - 마켓의 총 GMV: 시장이 전체적으로 떨어졌나? 불경기인가? 확인하기 또는 발명, 발견
    (ex. 조선업) = 나만 줄었나? 다 줄었나 확인해야함. 다 줄었으면 시장을 탈출해야 한다.

 

- 큰그림(Profit만 잘나오면된다)

- 구체적으로 물어보지 않는다 (애매하게)

 

- 숫자 크게 하기

- 그래프에 숫자 표현하기(단위)

- 색상 테마 정하기(알록달록하게X)

- TOP 5 카테고리는 항상 고정이다. (보는 의미가 없다) but 매출 대비 순이익이 높은 TOP5는 바뀔 수 있다, TOP5는 변동이 많은 필드에서 사용해야 한다 or 변동이 있을 경우에만 사용하고 언급해주기

 

 

[우리 조 피드백]

- 글씨 큰 것, 수식 만든것 Good,

- 사람들은 MOM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보는 것을 선호함 & 2022년만 있어야함

- 파란색을 -, +를 빨간색으로 하는 것이 좋음

- 이익은 높아지고 비용은 낮아져야 한다. 매출 대비 수익이 어느정도가 나오는지 바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임원들은 Sales를 외우고 있기 때문이다. 

- 텍스트에서 맞춤 가로, 세로 가운데 설정, 상단을 전체 보기로 설정해주기 

- 스크롤 많이 없도록 전체 보기 활용, 더 길다면 너비 맞추기

 

 

 

 

➡️ 지역 매니저

  • 절대적 상대적 숫자 비교: 100%의 기준을 잘 정해야한다. 제목에 잘 적어야 한다. 뭐하고 뭐랑 나눠서 퍼센트를 구한건지.
  • 매개변수 필터: 상세하게 봐야하기 때문에 많은 필터가 있을수록 좋다. (6개 정도), 단골고객(=충성고객) 퍼센티지 or 많이 사는 사람을 잡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사람들의 패턴을 파악해야한다 & 리스트 알려주기 
  • 세부 카테고리 파고들기

 

얼마나 하고 있나 (인센티브와 연계되니까), 순위, 이 대시보드가 나에게 얼마나 유리할지 (캡처해서 실적보고 할 때 사용) → 임원이 보기 편하지만 상세한 내용이 있어야 한다 / 지역별로 판매량의 절대값을 보면 안된다 (억울할 수 있음)

 

- 필터, 매개변수가 가장 중요하다. 2000명의 매니저에게 일일이 보내줄 수 없기 때문이다.

- 필터는 상단에 있어야 한다. 필터가 많은 경우 우측이나 좌측에 밀어넣는다.

- 고객당 매출액은 중앙값으로 구해야한다. 그리고 중앙값이라고 따로 적어주어야 함 → 지역 매니저는 매출액을 높여주는 고객만 상대할 수 있게 된다.

 

tresher hold: 80%를 채우면 나머지는 포기한다. 고객 모두를 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회사 실무에서 쓰이는 법: 소수의 고객이 80%를 넘기면 나머지 고객을 신경쓰지 않는다.

ex. 1️⃣ 세금 환급(VAT): 리스트를 모두 나열한 후, 위에서부터 더한 것이 80%가 되면 자른다. 그리고 밑에 것을 보지 않는다. 2️⃣사내 결제: 작은 금액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 80.00 몇 %까지 확인할 것인지, 그건 몇 달러인지를 확인해서 최적의 가격을 찾는다. )

 

- 지역 매니저는 순이익을 상관하지 않고 매출에만 집중한다. 순이익을 높일 수 없기 때문이다. 

- 도시이름을 적어주어야 한다.

- 회사의 전체 대시보드를 보고 자기것을 본다. 팔 때마다 손해인지 체크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매출 대비 순이익 그래프 있는 것도 좋다.

 

- 정렬이 맞지 않으면 애매하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

- 지역 매니저들이 한 번에 이해하지 못하거나 너무 많이 바뀌면 설명이 너무 많이 붙어야 해서 힘들다.

- 색상 통일 필요

- 성장률의 경우는 매출이 높아야 주식 가격이 높아진다. (투자자들에게 보여지기 위해)

-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YoY, QoQ, MoM(기본화면으로 설정하면 좋다)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 카테고리별 최대매출 품목을 보는 것도 중요하다 (서브 카테고리)

- 지역 매니저가 몇등인지도 표시하면 좋다. (성장률 & 절대값)

 

 

 

우리 조가 제안하는 육하원칙은 다음과 같다.

who? 의사결정권자 (임원)
when? 2022년 12월 기준 KPI
where? 미국에서 발생한 데이터
what? KPI 지표 확인할 수 있는 대시보드 제작
why 23년도를 대비하여 목표치 설정 및 전략 수립을 위해 21, 22년의 기업 실적을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해
how? - KPI 주요 지표인 매출, 이익, 총 주문량, 주문당 매출액 등 주요 수치와 YoY, MoM 비교를 시각화
- 마케팅 제품 선별을 위해 가장 많이 팔리는 서브 카테고리 및 지역 TOP 5 시각화

 

<과제 발표>

더보기

최종 데이터가 2022년 12월이기 떄문에 현재가  2022년 12월이라는 기준으로, 이번년 KPI가 어떻게 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임원들에게 보여주는 대시보드라고 생각해서주요 지표들 (매출, 수익, 총 주문량, 주문당 매출)의 절대적인 수치와 전년도 비교를 함께 넣었습니다.좌측 하단에는 그럼 상단에서 확인한 YoY를 좀 더 세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21년~22년 사이의 매출과 이익에 대한 MoM을 넣어서,  총 Sales, 총 profit는 각각 절대적인 수치를 얼마를 했으며 그 전달 대비 어떻게 성장하고 있는지 증감률을 함께 나타내어 볼 수 있도록 했습니다.오른쪽 하단에는 2023년도 대비를 위해서 어떤 상품 혹은 어떤 지역에 집중할 수 있을지 의사결정 돕기 위해 매출 기준으로 상위 카테고리는 무엇이며, 지역은 어디인지 간략하게 바그래프로 나타내었습니다. (사실 이부분은 원래 2022년 12월 이번달 기준으로 적고 옆에 mom 으로 저번달 대비 증감률을 같이 적으려고 했으나 능력 부족으로 증감률을 같이 표시 못했는데 같이 있다고 봐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전략실에 뽑히면 연봉이 더 높다! → 사업 결정권자 옆에 있을 수 있다.

 

데이터 애널리스트 + 컨설팅 역량

➡️ 이번 시간에는 컨설턴트들이 가장 많이 쓰는 이론을 데이터 애널리스트로써 태블로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MECE(미씨): 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 중복과 누락 없이 전체 정보를 포괄해야 한다는 논리적 개념 

ex. 남여, 아이폰과 갤럭시는 미씨X

 

이슈트리로 나누기

점유율이 100이 됐다고 좋은 것이 아니다. 경쟁사가 탈주한 것. 전체 시장이 줄어드는 것이다.

[과제] 네이버 웹툰 = 웹소설 진출 여부

→ 데이터 분석가가 있는데 컨설턴트 끼는 이유: 확신을 주기 위해

  • 알아야 할 것: 시장, 경쟁사(ex. 몇개인지), 유통채널(ex. 작가), 자사의 관점(ex. 그래서 이걸로 얼마를 벌 수 있는지) = MECE / 대시보드에 모두 들어가야 한다.
  • So what? Why so?의 A, B, C를 합한 것이 결론이여야 하고, 결론의 이유가 A, B, C여야 한다.

 

➡️ 대시보드를 만들 때 무조건 MECE를 포함해야 한다.


📍 매개변수

: 차원을 바꿀 수 있고 숫자적인 측정값 차원도 바꿀 수 있는 것

 

[차원 매개변수]

1. 껍데기 만들기

  • 이름 제대로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기 (이해할 수 있도록, 영어로)
  • 데이터 유형: 날짜가 아닌 이상 문자열로 하기
  • 허용 가능한 값: 연결고리에 이름 주기
    •  표시형식: 껍데기에 표현될 애들

 ➡️ 아무것도 없는 껍데기

 

2. 알맹이 채우기

값 넣어주기

 

[측정 매개변수]

 

 

원하는 차원 넣어주기

 


📍 필터

필터도 우선 순위가 있다.

  • context Filter
  • Aggregate Calculation Filter

 

 

  • 와일드카드: 문자열에서 자주 사용되지만 추천하지 않음
    • 메뉴얼한 작업이기 때문에 자동화시 실수를 유발할 확률이 높다
    • 쓰면 꼭 사람들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 조건
    • 필드 기준: 메뉴얼 작업
    • 수식 기준: 자동화시킬 수 있다.
      ex) if sum(profit) < max then sum(sales)

  • 상위
    • 필드 기준: 추천
    • 수식 기준

 

[개인과제] 컨텍스트 필터하면 뭐가 달라지는지 자기에게 공부 선사하기

 


📍동작

➡️ 구현은 시트에서 하지만 적용은 대시보드에서 한다.

필터와 하이라이트가 가장 많이 쓰인다.

 

[필터]

 

  • x를 눌렀을 때 y가 적용됐으면 좋겠다. 라고 생각하고 이름을 지어야 한다.
  • 보여주고 싶은 대시보드에서 동작 구현하기
    요약: 두개 다 체크되면 쌍방으로 영향을 받는다. 에러날 확률도 높고 복잡하다.
  • 카테고리를 눌렀을 때 서브 카테고리가 움직였으면 좋겠다
    • 마우스오버: 바로 볼 수 있게 하고 싶을 때
      but 렉이 잘 걸리고 어지러움
    • 선택

ex) 지도에서 선택할 때 많이 사용 

 

[하이라이트]


도넛 차트

많이 사용하는 차트

  1. 텍스트 테이블 (엑셀과 유사해서)
  2. 히트맵: - 빨강, + 파랑
  3. 막대그래프: 남용 금지! 이중축이용하여 쉽게 볼 때 사용

 

파이차트로 도넛차트 만드는 법

→ 최대한 간단한 필드가 있는 것으로 만들기,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조별과제

kpmg: 오퍼레이트 컨설트 -> 에어비앤비로 파견을 갔다.

자기의 문제도 모르는 경우가 많지만 실적을 내고 싶어한다.

 

매크로를 통해 너무 많이 사람이 등록이 될 경우 아마존 웹서비스에 많은 돈을 내야한다. 효율적인 애들만 뽑아서 관리하고 싶다. 어떤 아이들이 에어비앤비에서 사라지는 것이 좋은가?

➡️ 리뷰X, 판매X

 

현재 내 상황은 어떻고 없앴을 때 내 상황이 어떻게 좋아지는지 알고싶어한다.

매개변수 & 필터 & 동작 사용하기

➡️ Airbnb netyork city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 

 

화려하고 이쁘게 만들어야 한다. (디자인 신경쓰기)

대시보드에는 회사 색깔이 꼭 들어가야함 (로고, 제목 등 테마 색 설정)

 

230314_4조_태블로_03.twbx
2.46MB
230314_4조 그룹과제_제안서.pdf
0.06MB

 

오늘 하루종일 머리 꽁꽁 싸매며 완성한 대시보드다 🥲

내일부터 파이썬 시계열 강의 말고 태블로 강의를 다시 들어야 하나 고민중이다..

 


* 유데미 큐레이션 바로가기 : https://bit.ly/3HRWeVL

*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udemy-wjtb

📌 본 후기는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4기 데이터분석/시각화 학습 일지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