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동이의 성장일기

[👩‍💻TIL 14일차 ]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4기 본문

교육/유데미 스타터스 4기

[👩‍💻TIL 14일차 ] 유데미 스타터스 취업 부트캠프 4기

홍동2 2023. 2. 23. 17:44

 

 

 

오늘부터는 데이터 드리븐 디자인씽킹에 대한 오프라인 학습이 진행된다. 컴퓨터 없이 진행되는 첫 수업이다🙊 이번 시간에는 데이터 리터리시 이론에 대해 배우고 노코드 데이터 분석을 진행했다. 오늘의 키워드는 창의성 공감 그리고 호기심이었다. 창의성이 발현되기 위해서는 도전을 추구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사고가 필요하고, 상대방을 공감하는 마음에서 문제의 해결점이 도출된다는 것을 배웠다.

 

인상 깊었던 점은 이타심은 결국 나에게 다시 돌아온다는 것이다. 한 달 전에 아주대 심리학과 김경일 교수님의 강연을 들을 기회가 있었는데 그때도 메타인지를 이야기하시며 이타심을 강조하셨다. 이타심은 이기심의 한 종류라는 글을 본 적이 있는데 모두 같은 맥락 안에서 돌아가는 말인 것 같다. 아무튼 오늘은 이러한 창의성과 공감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하는 시간을 가졌다.

 

 

 

 

앞으로 3일동안 함께할 조원들과 간단한 아이스브레이킹 시간을 가졌다. 아래 사진은 우리 조의 상징인 등불이다. 아람 언니가 우리 조의 공통점으로 찾아준 안정성과 오늘의 핵심 키워드인 창의성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전구💡이미지를 생각해 낸 뒤, 깨지기 쉬운 전구보다 튼튼해서 안전한 등불을 심볼로 만들어냈다. 옆에 있는 사람 모형은 강의를 열심히 듣는 우리들의 모습이다. 목이 굽어있는 모습까지 제법 나와 닮았다.

 

 

 

 

오후부터는 본격적인 데이터 분석에 들어갔다. 대한민국의 저녁시간대에 65세 이상의 보행사망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표를 보고 문제정의를 해보았다. 문제정의를 이렇게 구체적으로 단계별로 나눠서 해본 것이 처음이라 맥락을 잡기가 어려웠다. 강사님의 설명과 다른 조의 발표를 들으며 내가 찾지 못한 인사이트를 발견하기도 하고 데이터 분석은 이렇게 하는 것이구나를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우리 조의 문제정의 표다. 해당 문제에 대해 운전자와 보행자의 관점에서 분석해보았다. 데이터의 표면적인 부분만 분석하려고 한 것 같아 아쉬움이 남지만 오늘의 아쉬움을 바탕으로 다음번의 분석과 프로토타입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는 오늘보다 나은 분석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우리 조 분석 피드백을 듣다가 꽤나 충격적인 질문이 있었다. 우리 조가 생각한 보행사망자 증가가 문제인 이유는 65세 인구의 감소였는데 65세 이상 인구의 감소가 왜 문제냐는 질문이었다. '어떻게 그런 생각을 할 수 있어!'라는 관점의 충격이 아니라, 정말 이것이 왜 문제인지를 짚어내지 못하는 현실이 충격이었다. 앞으로 고령화에 대한 우리나라의 철저한 대비가 더욱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 책은 해당 이야기를 하시며 강사님이 말씀해 주신 책이다. 조만간 한 번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분석을 할 때 우리와 우리 주변 사람의 시각이 아닌, 문제를 겪고 있는 사람의 시선에서 문제를 바라봐야 한다는 것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2조의 신들린 퀴즈 점수를 마지막으로 오늘 교육이 종료되었다.

 


 

오프라인 수업은 처음이었는데 다 같이 의견을 내고 집중하며 수업을 듣다 보니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었다. 그런데 수업시간에 필기 없이 내용만 듣다보니 TIL 적을 때 배운 내용이 잘 기억나지 않는다🥲 내일부터는 수업 내용을 간단히 필기하면서 따라가야겠다. 월요일까지 화이팅!

 


* 유데미 큐레이션 바로가기 : https://bit.ly/3HRWeVL

* STARTERS 취업 부트캠프 공식 블로그 : https://blog.naver.com/udemy-wjtb

📌 본 후기는 유데미-웅진씽크빅 취업 부트캠프 4기 데이터분석/시각화 학습 일지 리뷰로 작성되었습니다.

728x90
Comments